La vita e bella

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나이 중복 총정리 본문

깨알생활정보

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나이 중복 총정리

추앙합니다 2023. 3. 19. 20:54
반응형

오늘은 지난 8일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신청조건 및 자격 등등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1. 청년도약계좌 란 ?

청년도약계좌는 간단히 말하면 청년층에게 자산형성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으로, 매월 최대 70만 원에 적금을 납입하면 정부가 월 최대 24,000원을 더해주는 방식입니다.

 

 

 

2.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가입기간

 

가입대상은 만 19에서 34세 청년으로 개인 소득이6천만 원 이하면서 동시에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기준을 충족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. 총 급여 기준6,000~7,500만 원은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하며,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, 즉 금융소득(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)이2,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입이 제한됩니다.

 

*참고로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병역이행 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나이 계산해서 뺍니다. 

 

가입기간은 6월에 가입을 시작하여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. 이후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아, 가입신청 후 2~3주 내에 심사하여 결과통보를 합니다.

 

3.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지원내용

가입자는개인소득 수준,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이 있습니다.

 

<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>

개인소득
(총급여 기준)
본인 납입한도(月) 기여금 지급한도(月)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(月)
2,400만원 70만원 40만원 6.0% 2.4만원
3,600만원 50만원 4.6% 2.3만원
4,800만원 60만원 3.7% 2.2만원
6,000만원 70만원 3.0% 2.1만원
7,500만원 - - -

 

4. 청년도약계좌 가입신청 및 준비서류

가입신청은 신청인의 개인소득, 가구소득 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가능여부가 결정됩니다. 취급기관 앱(App) 등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며, 별도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, 소득확인 등을 통해 가입 가능하도록 추진 중입니다. 다만, 만 34세 초과자의 군대경력 인증서류, 소득심사 결과에 따른 이의신청자 등의 경우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 

금융위원회는 청년도약계좌 출시와 관련해 취급기관이 모집된 이후 협의를 거쳐 취급기관 목록, 상품금리, 가입신청 개시일 등의 사항을 추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 

 

만일 현재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했다면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는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 1397로 문의 하거나,

아래 금융위원회 사이트에 가서 살펴보기 바랍니다.

 

금융위원회 청년도약계좌 안내페이지

 

반응형